본문 바로가기

세법공부 기록장39

근로소득 과세방법(일용근로자 상용근로자의 원천징수, 연말정산) 근로소득이란 간단히 말해서 회사로부터 받는 급여를 의미합니다. 급여명세서를 보시면 매월 받는 급여(근로소득)에서 일정금액이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항목으로 공제되어 있습니다. 이를 원천징수라고 하며, 원천징수된 1년지 총세액을 대상으로 연말정산을 하여 추가납부금액, 환급금액을 계산합니다. 이것을 근로소득 과세방법이라고 하며, 아래에 자세히 설명하려고 합니다. 방법 1. 매월 급여에서 소득세 원천징수 근로소득자에게 근로소득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매월분의 급여 또는 상여지급 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의하여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원천징수하여 납부합니다. 방법 2. 연말정산 연말정산이란 근로자에게 지급한 연간근로소득에 대한 소득세액을 계산하여, 매월 근로소득 지급 시 원천징수한 세액과의 차액을 추가로 징수하거나 환급.. 2022. 12. 27.
근로소득 항목, 비과세 근로소득 총정리 근로소득의 개념 근로소득이란 근로계약에 의하여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금품으로써, 봉급 급료 임금 수당 상여 등 명칭이나 형식여하에 불구하고 그 실질내용이 근로의 대가인 경우에는 근로소득에 포함합니다. 근로소득의 분류 ① 근로를 제공함으로써 받는 봉급, 급료, 상여, 수당 등의 급여 ② 법인의 주주총회, 사원총회 등 의결기관의 결의에 따라 상여로 받는 소득 ③ 법인세법에 따라 상여로 처분된 금액(인정상여) ④ 퇴직함으로써 받는 소득으로서 퇴직소득에 속하지 아니하는 소득 (임원 퇴직금 한도초과액) 근로소득에 포함되는 항목 ① 기밀비, 교제비, 여비 : 기밀비, 판공비, 교제비 등의 명목으로 받는 것으로서 업무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 분명하지 아니한 급여 등과 여비의 명목으로 받는 연액 또는 월액의 급여를 의미.. 2022. 12. 27.
지방이전기업 과세특례제도 세액감면 지원제도 정리 지역 균형발전 지원 및 제도 합리화를 위해 지방이전 기업 세제지원 제도 개선하고자 조세특례제한법에 있는 규정 기한을 연장하고, 일부 규정을 추가하였습니다. 2023년 1월 1일 이후 이전하는 분부터 적용합니다. 대도시 내 공장의 지방이전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 제도 합리화 및 적용기한 연장 공장의 대도시 밖 이전에 대한 법인세 과세특례 대상: 공장시설을 대도시에서 대도시 밖으로 이전한 법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서 대도시란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광역시(산업단지 제외)를 말하며 , 대도시 내 산업단지에 소재하는 법인은 제외합니다. 단, 대도시 내 산업단지에 산업단지 지정고시 이전 입주한 법인은 과세특례적용(개정세법) 합니다. 공장의 대도시 밖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 내용: 공.. 2022. 12. 26.
2023년 법인세법 개정(2022.07.21발표) 법인세 세율 및 과세표준 구간 조정 (2023년 1월 1일 개시 사업연도분부터 적용) 법인세율 인하 및 과세표준구간 조정됩니다. 최고세율을 25%에서 22%로 인하하고,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은 과세표준 5억 원까지 10% 특례세율 적용합니다. 다음 요건을 모두 갖춘 중소기업, 중견기업은 10% 특례세율 적용을 제외합니다. ①지배주주 등이 50% 초과 지분을 보유하고, ②부동산임대업이 주된 사업이거나 부동산 임대수입, 이자, 배당의 매출액 대비 비중이 50% 이상인 중소기업, 중견기업 과세표준 세율 2억원 이하 10% 2~200억원 20% 200~3,000억원 22% 3,000억원 초과 25% 과세표준 세율 5억원 이하 중소기업, 중견기업 : 10% 그외 기업 : 20% 5~200억원 20% 200억원 초..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