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법공부 기록장/소득세법23

소득세 절세와 노후대비를 위한 연금저축 알아보기 1.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이란 공적연금인 국민연금 수령시기 도달 전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노후보장 개인연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시기가 만 60세부터 1년씩 계속 늦춰져서 만 65세가 되어야 수령할 수 있는데, 정년퇴직이 55세라고 예상하면 만 55세부터 만 65세까지는 소득이 없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자 만 55세이상되면 수령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국민연금 수령 전 시기동안 노후보장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20~30대인 저와 같은 세대는 고령화와 출산율저하로 인해 국민연금 고갈시기가 일찍 도래하여 국민연금을 보장받을 수 없다는 얘기가 종종 나오고 있죠? 연금저축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202.. 2023. 1. 27.
연말정산 절세하려면 연금저축 가입하기(연금보험, 연금저축 공통점 및 차이점) 연말정산으로 세금 환급액 늘리는 방법 직장인인 경우 연초에 연말정산이 최대 관심사이죠. 사회초년생이거나 부양가족 조건 미충족으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 납부해야 할 세금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때 납부해야 할 세금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있는데요. 연금저축에 가입하여 일정금액을 넣어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을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결론적으로 연금보험은 연말정산 세액공제혜택은 받을 수 없습니다. 연말정산 세금환급액을 늘리기 위해서 연금저축에 가입한다면 해당 연도 12월 31일까지 연금저축계좌에 납입된 금액만 연말정산 세액공제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도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2022년도 12월 31일까지 연금저축계좌에 납입해야 합니다. 2023년 1월에 납입한 .. 2023. 1. 19.
지급명세서 제출시기, 제출방법 및 지급명세서 가산세 규정 지급명세서 제출시기와 제출방법 구분 제출시기 근로, 퇴직, 사업소득, 종교인소득, 연금계좌 지급명세서 다음연도 3월 10일 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 지급일이 속하는 반기의 마지막 달의 다음달 말일 (1월~6월 : 7월 말일까지/ 7월~12월:다음연도 1월말일까지) 사업소득 간이지급명세서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말일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말일 이자, 배당, 기타소득 등 그 밖의 소득 지급명세서 지급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연도 2월 말일 휴업, 페업한 경우 지급명세서 매년 7월 또는 8월~ 다음연도 1월까지 수시 제출 1. 전자제출 방법 지급명세서는 전자제출이 원칙으로 홈택스를 통해 제출합니다. 홈택스→신청/제출→근로, 사업등 지급명세서→ 해당 지급명세서 선택 후 제출 2.. 2023. 1. 3.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연말정산 소득공제 체크하기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소득공제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가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을 임차하기 위하여 대출기관을 통해 차입한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액을 소득공제 합니다. 세대주가 주택 관련 공제를 받지 않은 경우 세대원이 소득공제 가능하며, 주거용 오피스텔 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도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총 급여 5천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자가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임차하기 위하여 대부업을 경영하지 아니하는 개인으로부터 연 1,000분의 12보다 낮은 이자율로 차입한 자금이 아닌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액 - 원리금 상환액의 40%의 금액을 소득공제하며, 주택마련저축공제금액을 합하여 연 400만 원을 한도로 합니다.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 무주택 또는 1 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 2023. 1. 2.